임산부 보건소 철분제 및 엽산제 신청 방법
- 청운의 [건강 이야기] 다락방
- 2015. 5. 7. 10:59
오늘은, 임산부 보건소 철분제와 엽산제 신청 방법 및 신청시기 그리고 기타 보건소에서 할 수 있는 유용한 검진 등에 대해 소개드려 볼까 합니다.
뭐..
철분제와 엽산제의 경우 임산부들에게는 거의 필수적인 영양제 인지라.. 가격대가 그렇게 비싸지는 않습니다. 몇만원 정도죠.. 그래도, 임산부에게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철분제 및 엽산제의 경우 무료이니까요.. 궂이, 돈을 땅바닥에 흘리고 다닐 필요는 없겠죠? -_-
산모등록만 하면 누구나! 무료! |
엽산제의 경우에는 임신 전부터 꾸준히 섭취해 줘야 하는 영양제죠.. 따라서, 임신 전에 먹는 엽산제는 보건소에서 받을 수는 없습니다. 보건소에서는 임신확인이 되어야 엽산제를 주니까요..
아무튼, 보건소 철분제 및 엽산제 제공 개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대상 |
내용 |
철분제 |
임신 16주 이상 ~ 분만 전까지 |
1인 1개월 기준 5개월분 지급 |
엽산제 |
임신 확인시 ~ 12주 까지 |
1인 1개월 기준 최대 3개월분 지급 |
물론, 보건소 사업의 경우에는 각 지자체 사업이기 때문에 지자체별로 지원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만.. 철분제와 엽산제의 경우에는 거의 공통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섭취 시기가 딱~ 딱~ 정해져 있으니까요..
수령 방법은.. |
최초 임신이 되고 산모수첩(초음파사진)을 받은 이후에 신분증을 들고 보건소에 산모등록을 하면 됩니다. 등록 후 엽산제를 받아 오시면 되고요, 철분제를 받을 때에는 마찬가지로 산모수첩과 신분증을 들고 가시면 되겠습니다.
나름 유용한 보건소의 무료(또는 저렴한) 임산부 관리 프로그램들 |
보건소에서는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관리를 한정된 범위 내에서 해 주는데요.. 모성검사에서 부터 가임여부 확인과 같은 산전검사, 기형아 검사 등을 해 줍니다.
대략적인 개요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대상 |
내용 |
모성검사 |
임산부 |
- 임신초기 검사(8주~12주) - 임신말기 검사(35주~37주) |
임신반응 검사 |
가임여성 임산부 |
- 가임여부 확인검사(소변) |
임신성 당뇨 검사 |
임신 24주 ~ 27주 |
- 임신성 당뇨 조기발견 - 4시간이상 금식후 검사 |
기형아검사(트리플) |
임신 16주 ~18주 |
- 혈액검사로 다운증후군 외 기형 확률 판별 |
산부인과를 다니다 보면, 이런 류의 검사를 보건소에서 받아 오라고 이야기를 해 주는 병원들이 있죠.. 해당 병원에서도 할 수 있는 검사들이지만 보건소를 활용하면 검진 비용이 아무래도 덜 드니까.. 병원에서도 이런 보건소 검사들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건강관리 부분 외에도 보건소 에서는 유축기 대여,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영유아 예방접종 사업을 무료 또는 아주 저렴한 비용만 받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
유축기 대여 등의 경우.. 실질적으로 대여받기가 녹록치는 않습니다. 저희만 하더라도 너무 대기자가 많아서 결국 포기 했네요.. 뭐.. 동네마다 다소 상황이 다르기는 하겠지만 말이죠..
가슴은 아파죽겠어서 당장 필요한데, 몇주씩 기다려야 받을 수 있는건 참 아쉽습니다. 결국 저희는 따로 구매를 했네요.. 뭐.. 저렴한 것들은 5만원 내외면 구입이 가능하더군요.. 길어야 6개월~1년 쓸건데 궂이 좋은거 살 필요는 없겠다 싶어서 싼걸로 샀습니다.
유축기 대여의 경우에도 미리 신청해 두시면 제때 받을 수 있다고는 하더라고요..
그 밖에도.. |
보건소의 경우에는 활용해 볼만한 프로그램들이 꽤 있습니다. 산모교실이나 모유수유 클리닉, 아기마사지 강좌 등은 저도 들었지만 꽤 유용하더군요..
보건분야의 복지 프로그램이 주로 보건소에서 이루어지고 보건소의 큰 사업 중 하나가 바로 임산부 관리니까요.. 적극~ 활용해 보시길 권해 드리면서 오늘 임산부 보건소 철분제 및 엽산제 신청 방법에 관한 포스트.. 이만 줄일까 합니다. (__)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