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반드시 떨어질까?
- 청운의 [경제 이야기] 다락방
- 2014. 1. 7. 14:57
오늘은, 금리와 주가 이야기를 해 볼까 하는데요..
흔히,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떨어지고, 금리가 내리면 주가가 올라간다고 하죠?
이러한 공식은 왜 성립할까요? 바로.. 금리는 시중의 자금유동성과 관련이 있고 자금유동성에 따라 주가는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공식이 항상성립한다? 그것은 결코 아니고.. 오히려 반대의 상황이 연출되는 경우들이 더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현재의 경제상황에 대한 고찰이며.. 어떠한 이유로 금리가 오르내리고 있는가를 살펴야 하는 것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왜 떨어질까? |
우선 '금리'에 대해서 한번 생각을 해 보면.. 금리란, 이자.. 이자는 결국 돈의 값을 이야기 합니다.
우리가 예금을 하면, 해당되는 금액을 사용할 권리를 일정기간 포기하면서 그에 대한 값을 받는 것이죠..
마찬가지로, 은행이 기업에 대출을 해 주게 되면 그에대한 값을 받는 것입니다. 이것이 금리의 본질이죠..
따라서.. |
금리가 오르면 돈의 값이 비싸졌다는 말과 같은 말입니다.
돈의 값이 비싸지면? 기업은 돈을 차입하는데 비용이 증가하게 됨으로 투자를 줄이려고 할 것입니다. 이는 결국, 기업의 성장이 더뎌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기업이 움츠러들면 들수록.. 기업성과는 나빠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떨어진다는 논리가 성립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금리에 의한 주가하락의 원인을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요..
투자자는 안정형 자산인 채권, 예적금 등과.. 리스크가 있는 투자형 자산인 주식이나 파생상품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오른다는 이야기는 채권금리 및 예적금 금리가 오른다는 의미도 됩니다.
따라서, 궂이 리스크를 부담하면서 까지 주식에 투자할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죠..
예전.. |
우리나라의 70~90년대 까지만 해도 펀드 등의 금융상품은 일부 투자자들의 전유물과 같았죠..
주식투자역시.. 지금처럼 광범위하게 대중화 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시중금리가 높았기 때문에 궂이 손실의 가능성이 있는 주식형 상품을 구입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적금금리는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10%대를 상회했습니다..(믿기시나요? 적금이 10%~!! -_-)
금리는 시장의 원리로 움직이는 것만은 아니다. |
하지만, 이러한 공식이 반드시 성립하지 않는 것은, 금리라는게 시장의 원리로만 움직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가격의 결정은 어떻게 될까요? 바로, 수요와 공급이라는 너무나도 유명한 시장의 기본원리에 의해 정해집니다.
위에서, 금리는 결국 돈의 값.. 즉 가격이라고 이야기를 했죠.. 금리도 결국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게 당연합니다.
하지만, 금리는 결코~!! 시장의 원리에만 맡겨지는 경제지표가 아닙니다. 그러기에는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너무나도 크기 때문이에요..
우리나라에서는.. |
주기적으로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정하죠.. 이러한 기준금리에 따라, 시장금리는 따라오는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시장금리를 유도하기 위해 기준금리 정책을 펴는 것이기도 하고요..
그렇다면, 위에서 예를 든.. 금리가 오르면 주식이 떨어지는 인과관계는 틀릴 수 있는 것입니다.
즉, 금리를 올리는 정책을 하는 이유는.. 시장이 과열되었거나 활황기에 왔기 때문이라는 판단하에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이죠.. 결국, 현재 시장이 좋다는 반증이 될 수 있음으로.. 오히려 주가가 오를 수 있는 것입니다.
금리 하락도 마찬가지죠..
금리가 떨어지면 시중에 돈이 많이 돌아서 투자시장이 활성화 되어야 하는데.. 이는 결국, 경기침체의 상황을 타게하기 위해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금리인하 카드를 꺼내 든 것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가 하락하더라도 주가는 계속 떨어질 수 있는 것이죠.. |
오늘은, 간단하게 금리와 주가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경제라는 분야는 자연공학적 사고로 접근해서는 곤란한 측면이 있습니다. 경제의 시작을 보면.. 항상 무언가가 통제되어 있죠.. "다른 요건이 변하지 않는다면? 뭐뭐 하지 않는다면?" 항상 이런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는 현실에서는.. 오히려 반대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럼.. 항상~!! 열린 사고로.. 의심하는 경제.. 의심하는 재테크~!! 해 나가시길 바래 보면서, 오늘 포스트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