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소금속 확보! 위협이자 기회 요인!

희소금속은 말 그대로 희귀성 있는 금속을 이야기 한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희소금속은 단순히 그 절대적 양이 적기만 한 것은 당연히 아니다. 그만한 경제적 가치가 있는 금속을 바로 희소금속이라고 한다.

 

이러한 희소금속이 중요한 이유는.. 첨단제품 등의 생산에 없어서는 안되는 역할을 하는 금속들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의 산업구조가 과거에 비해 월등히 선진화 되었고 자동차, 2차전지, IT 등을 주력으로 삼는 산업구조를 가진 만큼.. 이러한 희소금속 확보는 우리 경제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이슈이다.

 

 

희소금속이란?

 

희소금속은 총 세가지로 정의내릴 수 있다.

 

1. 천연 존재량 자체가 적은 금속

2. 수량은 많지만 고품위의 광석이 적은 금속

3. 수량이 많아도 순수 금속으로 추출해 내기 어려운 금속

 

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금속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이러한 희소금속은 소량이지만 제품의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물질들로, 산업의 비타민이라고도 불리운다.

 

희소금속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정할지는 그 중요도에 따라 다소 달라지겠지만, 현재 지식경제부 에서는 총 35개를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를 소개해 보자면 아래와 같다.

 

리튬(Li), 베릴륨(Be), 붕소(B),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코발트(Co), 니켈(Ni), 갈륨(Ga), 게르마늄(Ge), 셀레늄(Se), 루비듐(Rb), 스트론륨(Sr), 지르코늄(Zr), 니오브(Nb), 몰리브덴(Mo), 팔라듐(Pd), 인듐(In), 안티몬(Sb), 텔루륨(Te), 세슘(Cs), 바륨(Ba), 하프늄(Hf), 탄틸륨(Ta), 텅스텐(W), 레늄(Re), 백금(Pt), 탈륨(Ti), 비스무트(Bi), 기타 희토류

 

희토류는 하나의 물질이 아니라 총 17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복합물질이다.

 

이러한..

 

지식경제부에서 정한 주력 희소금속 중에서도 10대 희소금속과 주요 수입국을 보자면 아래와 같다.

 

희소금속

최대수입국 (양 기준)

망간

우크라이나(약 45%)

몰리브덴

중국(약 25%)

코발트

벨기에(약 50%)

텅스텐

중국(약 74%)

티타늄

인도(약 50%)

리튬

칠레(약 90%)

마그네슘

중국(약 97%)

인듐

국내생산

희토류

중국(약 65%)

크롬

남아공(약 53%)

 

10대 희소금속의 경우 주로 의료기기, 디스플레이, 컴퓨터, 특수강, LCD(LED), 2차전지, 조명, 전자부품촉매제, 자동차, 디지털 카메라, 하이브리드카, 반도체, 영구자석 등에 쓰이고 있다.

 

 

희소금속 확보와 관련산업의 발전 전략에 국민적 관심이 필요하다!

 

이러한 희소금속 확보는 우리 미래의 경제를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이슈이다. 과거에는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 자체가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면.. 이제는 희소금속 확보의 시대라고도 할 수 있다.

 

물론, 석유 등의 에너지원의 중요도가 떨어진 것은 아니지만.. 에너지원은 단가가 비싸서 그렇지 대체자원들이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지만 희소금속은 대체 불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희소금속은 그 특성상 특정 국가(중국, 미국, 남아공 등)에 편중되어 생산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는데.. 다행인 점은 조금은 늦은 감이 있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부터 10대 희소금속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고 남미의 볼리비아 등을 통해 희소금속 합작개발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일본이나 미국 등에 비해서는 많이 늦었지만.. 그나마 다행인 점이다.

 

이와 더불어..

 

희소금속은 기술적 완성도도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석유도 경제성 있게 뽑아내는게 중요하듯이.. 희소금속 역시, 경제성을 확보하면서 추출해 내는 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이러한 희소금속 전문기업은 약 30여개 정도가 된다. 지식경제부에서는 이를 2018년까지 100개 까지로 늘리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또다른 기회요인도 있다. 10대 희소금속 중 하나인 희토류 매장량의 절대다수가 중국에 분포하고 있지만.. 우리의 또다른 얼굴.. 북한에도 차고 넘칠 정도로 많은 양이 매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더 나아가 통일에 까지 이른다면? 과거 석유 한방울 없던 시대의 설움(?)을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 예상도 해 본다.

 

희소금속 확보는 세계 주요 경제강국들이 치열한 경쟁을 물밑에서 벌이고 있는 분야다. 우리도 이에 뒤쳐지지 않고 치열한 전쟁 속으로 들어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일반 국민들의 관심과 감시가 필요한게 아닐까 싶다. 과거 정부가 하는 일들에서 대중의 관심이 멀어질 수록 헛되이 낭비되었던 사례들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했던 것들을 봤을때 국민적 관심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는 생각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