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 부위별 명칭, 특수부위(부산물)
- 청운의 [잡다한 창고] 다락방
- 2014. 7. 16. 15:09
어제 살코기 부위 이야기에 이어 오늘은 소고기 특수부위 명칭과 대략적인 활용처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하는데요..
소고기 부산물 특수부위는 총 12가지로.. 우리가 알고 있는 사골, 대창, 곱창, 처녑 외에도 다양하게 있죠.. 이 역시.. 외국인들이 보면 기절을 한다능.. -_-
이렇게 다양한 소고기 특수부위를 먹는 국가는.. 특히, 서구 유럽권에서는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
[관련 포스트링크] 소고기 부위별 명칭, 소고기 : http://darak75.tistory.com/626
부위 |
부위 설명 및 사용처 |
벌집양 |
소의 두번째 위장으로 국, 전골로 사용한다. 지방질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 |
양 |
소의 첫번째 위장으로 벌집양과 마찬가지로 고단백 저지방 부위이다. 구이, 전골로 사용한다. |
곱창 |
전골, 구이로 사용하며 쫄깃한 식감을 특징으로 한다. |
대창 |
전골, 구이로 사용하며 곱창에 비해서 좀더 흐물거리는 특징이 있다. |
꼬리 |
국물요리에 사용하며 담백한 맛과 더불어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
사골 |
탕이나 국거리에서 국물을 내는데 사용하며 고영양 식품으로 원기회복용 식품으로 활용된다. |
처녑 |
소의 세번째 위로 회와 전으로 주로 섭취하며 오돌토돌한 돌기가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홍창 |
일명 막창으로도 불리우는 소의 네번째 위장이다. 구이 및 탕으로 활용하며 고단백 저지방 부위이다. |
우설 |
소의 혀로 편육, 찜, 조림 등에 활용하며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
심장 |
구이 불고기 등으로 활용되며 치밀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쫄깃한 식감이 일품이다. |
신장 |
구이용으로 활용하며 신장과 콩팥은 같은 용어이다. |
간 |
회, 수육, 탕 등으로 활용되며 각종 비타민이 풍부한 무기질의 보고이다. |
소는 풀을 소화시켜 먹죠.. 따라서 '위'가 네개나 됩니다. 각 위의 종류별로 명칭도 다르죠.. ^^
오늘은.. |
간단하게 소고기 특수부위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소는 정말이지.. 버릴 것이 없는 참 훌륭한 식재료죠.. 소고기 부산물들의 경우에는 처음 접하면 다소 부담스러워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특히, 회로 먹는, 간 과 처녑.. -_-)
곱창, 대창과 같은 부위를 제외하면 살코기에 비해 오히려.. 저지방 고단백 부위가 많은 만큼.. 한번 적극~!! 취미를 붙여 보시길.. 권해 드리면서, 오늘 이야기.. 이만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