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통장 만들기 및 최적 불입방식

오늘은 청약통장 만들기 그 절차와 가장 적합한 최적의 불입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하는데요..

 

청약통장이 과거처럼 소위.. 로또의 역할을 하는 시대는 지났다고 봐야죠.. 그렇다고 청약통장이 그 메리트가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인기 지역의 경우 경쟁이 치열하고, 청약통장 자체가 소득공제 혜택 등도 있음으로 가급적 만드는게 여러가지 면에서 좋습니다.

 

손해를 보는 것도 없는데 매력이 좀 떨어졌다고 해서 기회 자체를 없앨 필요는 없는 것이니까요.. ^^

 

 

청약통장의 종류와 청약통장 만들기

 

우선, 현재 운용되고 있는 청약통장은 크게 4가지 종류 입니다. 바로 청약예금,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종합저축 이죠.. 현재, 가입이 가능한 청약통장은 청약종합저축 입니다.

 

청약 저축, 부금, 예금의 경우 평수별, 분양주체별(공영, 민영)로 청약자격을 나눈 것인데.. 이를 통합해 나온 것이 청약종합저축 입니다. 따라서, 청약종합저축은 민영, 공영, 면적에 상관없이 모든 주택청약에 사용 가능한 통장입니다. 물론, 평형별로 청약 가능한 조건은 세부적으로 갖춰야 하지만 기본적으로 분양되는 모든 아파트에 사용 가능한 것이 청약종합통장 입니다.

 

과거에는..

 

청약관련 금융상품을 특정 은행에서만 독점을 했는데요.. 이제는 비교적 많은 은행에서 청약통장을 취급하도록 허용되었음으로 자신의 주거래 은행을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구체적으로 청약통장 취급은행은 아래와 같습니다.

 

 

청약통장 만들기가 일반 통장을 만드는 것과 다른 것은 없습니다.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과 도장(도장은 필수는 아님)을 들고 가까운 취급은행에 가서 만드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재외동포의 경우에는 국내거소 신고증, 외국인의 경우에는 외국인 등록증을 들고 가서 만드실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은 일반 국민 뿐 아니라 재외동포와 외국인도 가입할 수 있는 금융상품 입니다.

 

 

최적의 불입방식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경우 통장을 만들 때 적립금액 방식을 정해야 합니다.(향후 변경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불입 방식은 예치식, 적립식 모두 가능하고 일부를 예치한 다음 적립식으로 추가불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 구체적인 불입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월 2만원 이상 50만원 이내에서 5천원 단위로 자유납입

 

- 잔액이 1,500만원 미만인 경우 월 50만원 초과하여 잔액 1,500만원까지 일시예치 가능

- 잔액이 1,500만원 이상인 경우 월 50만원 이내에서 자유적립 가능

 

최적의 불입방식은?

 

월 10만원씩 적립식으로 예치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이는, 기존 청약저축통장 때문인데요.. 기존의 청약저축은 월 최대 불입액이 10만원 까지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청약에 의한 당첨자 선정이 총 불입액으로(공영,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경우) 결정되기 때문에 청약종합저축 가입자들이 많이 납입한 것을 인정하면? 이는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이 되는 것이죠.. 이에따라 10만원 이상을 납입해도 당첨에 영향을 주는 금액은 월 10만원 까지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궂이 10만원 이상 불입할 이유는 없는 것이죠..

 

여기에..

 

민영주택의 경우에는 기본적을 예치금 개념이 있어서 일정 예치금 이상 불입한 사람들에게만 청약자격을 부여하죠.. 구체적인 예치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청약 전까지 해당 금액을 맞추면 되기 때문에 궂이 미리 큰 금액을 예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최적의 불입방식은 월 10만원 적립식인 것이죠..

 

오늘은, 청약통장 만들기와 최적의 불입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청약통장이 그 매력이 많이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유효한 내집마련의 수단입니다. 다만, 청약통장의 가치를 제대로 발휘하려면? 과거에 비해 좀더 신중한 청약통장 사용이 필요하기는 합니다. 어디 구석진 곳의 인기없는 지역 보다는 앞으로의 자산가치 상승이 기대되는 곳에 집중적으로 청약을 넣는게 바람직 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